-
병기 1기의 투명세포난소암에서 가임력보존 치료의 안정성 평가
- PI / PI기관 Jeong Yeol Park / 서울아산병원(Asan Medical Center)()
- 등록일 / 갱신일 2022-05-10 / 2023-03-28
- 현재등록 / 목표 대상자 수 0 명 / 0 명 (0.0%)
-
초기 자궁내막암에서 감시 림프절 탐색과 고식적 림프절절제술의 비교 연구
- PI / PI기관 Jeong Yeol Park / 서울아산병원(Asan Medical Center)()
- 등록일 / 갱신일 2022-05-10 / 2023-03-28
- 현재등록 / 목표 대상자 수 0 명 / 810 명 (0.0%)
-
NRG-GY020: 새롭게 진단된 초기 고위험 불일치 복구 결핍증(dMMR) 자궁내막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+/- 펨브롤리주맙(MK-3475)의 3상 무작위 시험
- PI / PI기관 Jeong Yeol Park / 서울아산병원(Asan Medical Center)()
- 등록일 / 갱신일 2022-05-10 / 2023-03-28
- 현재등록 / 목표 대상자 수 32 명 / 168 명 (19.0%)
-
진행성 또는 재발성 자궁내막암에서 paclitaxel, carboplatin 과 병용 투여하는 atezolizumab 에 대한 이중맹검, 무작위, 대조군 3 상 연구
- PI / PI기관 Chul Min Lee / CHA Ilsan Medical Center()
- 등록일 / 갱신일 2022-05-10 / 2023-03-28
- 현재등록 / 목표 대상자 수 550 명 / 550 명 (100.0%)
-
복막의 세척액 세포학적 검사에서 양성으로 진단된 저위험군 또는 저-중간위험군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호르몬 보조요법의 효용성: 다기관연구
- PI / PI기관 Banghyun Lee / 인하대병원(Inha University Hospital)()
- 등록일 / 갱신일 2022-05-10 / 2023-03-28
- 현재등록 / 목표 대상자 수 0 명 / 66 명 (0.0%)
-
측정가능한 병기 III, IV 또는 재발성 자궁내막암에서 paclitaxel/carboplatin에 pembrolizumab의 추가에 대한 무작위, 위약 조절, 3상 연구
- PI / PI기관 Beob-Jong Kim / Korea Cancer Center Hospital()
- 등록일 / 갱신일 2022-05-10 / 2023-03-28
- 현재등록 / 목표 대상자 수 461 명 / 810 명 (56.89999999999999%)
-
-
- PI / PI기관 Seung-Hyuk Shim /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()
- 등록일 / 갱신일 2022-05-10 / 2022-05-10
- 현재등록 / 목표 대상자 수 0 명 / 50 명 (0.0%)
-
SELPAX: 여성이 자가 검체 채취기로 채취한 질검체를 이용한 인유두종 바이러스 및 질염 질환 원인균 검사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전향적 다기관 연구
- PI / PI기관 Moon-Hong Kim / Korea Cancer Center Hospital()
- 등록일 / 갱신일 2022-05-10 / 2022-05-10
- 현재등록 / 목표 대상자 수 0 명 / 316 명 (0.0%)
-
파클리탁셀, 시스플라틴, 베바시주맙을 투여받는 재발성, 전이성, 지속성 자궁경부암에서 메트포르민 복용의 생존결과에 대한 효과: 오픈 라벨 전향적 다기관 무작위 배정 연구
- PI / PI기관 Min-Hyun Baek / 한림대성심병원(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)()
- 등록일 / 갱신일 2022-05-10 / 2023-03-29
- 현재등록 / 목표 대상자 수 0 명 / 0 명 (0.0%)
-
초기 자궁내막암에서 감시 림프절 탐색과 고식적 림프절절제술의 비교 연구
- PI / PI기관 Jeong Yeol Park / 서울아산병원(Asan Medical Center)()
- 등록일 / 갱신일 2022-05-10 / 2023-03-29
- 현재등록 / 목표 대상자 수 30 명 / 810 명 (3.6999999999999997%)
* (사)대한부인종양연구회는 게시된 세부 임상연구 정보에 대해 법적 책임이 없습니다.